나이 든 농가 인구…고령인구 비율 지난해 46.6%지난 50년 동안 70대 이상 인구 가장 많이 늘어나…지난해 노령화지수는 1천72.3명
통계청의 ‘통계로 본 농업의 구조 변화’에 따르면, 지난해 농가 인구는 224만 5천 명으로, 1970년 1천442만 2천 명보다 84.4%나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인구 중 농가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은 1970년 45.9%에서 1990년 15.4%, 2000년 8.8%로 점차 감소해 지난해에는 4.3%에 불과했다.
농가수 역시 1970년 248만 3천 가구에서 지난해 100만 7천 가구로 59.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가구 중 농가의 비중은 1970년 44.5%에서 지난해 4.8%로 감소했다. 농가인구는 연평균 3.7%, 농가수는 1.8% 감소한 것이다.
반면, 농가 고령인구 비율은 크게 증가했다. 농가 고령인구 비율은 1970년 4.9%에서 1990년 11.5%, 2000년 21.7%로 계속 증가해 지난해에는 46.6%에 달했다. 1970년과 비교하면 41.7%p 증가한 수치다.
유소년인구 100명 당 고령인구 비율을 말하는 노령화지수 역시 가파르게 상승했다. 1970년 농가의 노령화지수는 11.4명이었는데, 1990년에는 56.1명, 2000년 190.9명으로 상승해 지난해에는 1천73.3명을 기록했다. 이는 50년 전에 비해 약 94배 증가한 수치이며, 올해 우리나라 노령화지수 129명에 비해서도 약 8배나 많은 수치이다.
연령별로는 15세 이상 농가 인구는 감소한 반면, 50대 이상 인구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50년 동안 15~19세 인구는 -15.9%p로 가장 크게 감소했으며, 30대 -15.6%p, 20대 -12.2%p, 40대 -9.8%p가 뒤를 이었다. 그러나 70대 이상은 29.9%p로 가장 많이 증가했으며, 60대 19.5%p, 50대 4.0%p 순으로 증가한 것으로 드러났다.
더불어 1990년부터 지난해까지 70세 이상 경영주는 연평균 4.0% 증가했으나, 60세 미만 경영주는 모든 연령대에서 감소했다. 경영주의 연령별 비중은 30년 전과 비교해 70세 이상이 37.3%p, 60대 9.3%p 증가했으며, 40대는 -16.6%p, 50대 -16.1%p, 30대 -11.9%p, 30세 미만 -2.0%p 순으로 감소했다.
<저작권자 ⓒ 100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100뉴스
이동화 기자 donghwa@confac.net
100뉴스, 백뉴스, 시니어, 노인, 실버, 농가인구, 고령인구, 농촌인구, 노령화지수, 귀농인구 관련기사목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