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한국건강증진개발원, ‘한국인을 위한 걷기 가이드라인’ 마련걷기 활성화를 통한 질병 예방과 국민건강증진을 위해
보건복지부와 한국건강증진개발원(이하 ‘개발원’)은 걷기 활성화를 통한 질병 예방과 국민건강증진을 위해 ‘한국인을 위한 걷기 지침(가이드라인)’(이하 ‘걷기 가이드라인’)을 마련했다고 26일 밝혔다.
최근 성인의 비만율은 증가(14년 30.9%->18년 34.6%)하고 있지만 신체 활동은 감소(유산소 신체 활동 실천율 14년 58.3%->18년 47.6%)하고 있다. 게다가 코로나19로 인해 바뀌어 버린 일상생활이 신체 활동 감소와 비만을 증가시킬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개발원이 1,031명의 국민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32.9%가 “코로나 이전에는 충분한 신체 활동을 했지만, 현재는 충분한 신체 활동을 하지 못하고 있다”고 답했다. 또 32.1%는 코로나 이후의 생활 변화에 대해 “체중 증가”라고 언급했다.
한편 걷기는 사망과 비만 위험을 감소시키며, 8대 암 및 심장병‧뇌졸중‧치매‧당뇨병 등과 같은 질환의 발병 위험을 줄인다. 또한 걷기는 우울증에 걸릴 확률을 낮추고 수면의 질을 향상시켜 정신 건강의 증진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하며, 인지 기능 향상에도 기여한다. 이 때문에 걷기 운동을 꾸준히 하면 젊은 세대뿐만 아니라 시니어 세대도 다양한 질병의 위협으로부터 신체와 정신을 보호할 수 있다.
보건복지부는 코로나19가 만든 새로운 일상 속에서 국민들이 건강을 지킬 수 있는 신체 활동을 꾸준히 할 수 있도록 ‘걷기 가이드라인’을 만들었다.
이번에 만든 걷기 가이드라인은 성인에게 필요한 걷기량, 올바른 걷기 방법, 걸을 때의 주의사항 등과 같이 누구나 쉽게 익힐 수 있는 걷기 실천법을 제시하고 있다.
가이드라인에 담긴 걷기 권장량은 1주일에 최소 빠르게 걷기(중강도 신체 활동/걸으면서 대화 가능, 노래는 불가능) 150분 혹은 매우 빠르게 걷기(고강도 신체 활동/걸으면서 대화 불가능) 75분이다.
올바른 걷기 자세는 시선, 호흡, 턱, 상체, 팔 등으로 나누어 제시했는데, 바른 자세로 걸으면 운동 효과를 높이는 동시에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바른 자세로 걸을 때에는 심호흡이 가능하고, 어깨와 목의 긴장이 풀리며, 허리나 골반의 통증을 예방할 수 있다.
걷기 전후에는 반드시 준비 운동과 정리 운동을 해야 하며, 걷기를 시작할 때는 5분 정도 천천히 걷다가 속도를 높이고, 끝낼 때에는 서서히 속도를 줄이는 것이 좋다.
또 일상생활 속에서 걷기를 실천하려면 버스‧지하철 이용 시 미리 내려서 걷거나, 계단을 이용하거나, 걷기 친구를 만드는 것이 도움이 된다.
한편 이번 가이드라인과 관련해 보건복지부 건강증진과 이윤신 과장은 “코로나19로 국민 생활의 변화가 큰 상황에서 걷기 가이드라인이 건강생활지침서의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우리 국민이 걷기 실천을 통해 몸과 마음의 건강을 잘 관리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백뉴스(100NEWS)=백진호 기자] <저작권자 ⓒ 100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100뉴스 /
백진호 기자 ksh@confac.net
100뉴스, 백뉴스, 노인, 시니어, 보건복지부, 한국건강증진개발원, 걷기, 걷기운동, 걷기가이드라인, 국민건강증진 관련기사목록
|
많이 본 기사
|